배움터

종합소득세율과 법인세율 (2023년 이후)_과세표준 구간조정

^천왕^ 2024. 1. 18. 15:03

 

안녕하세요. 

 

2023년 서민과 중산층의 세부담 완화를 위해 종합소득과세표준 구간을 조정하였습니다. 

기존과 비교해서 종합소득과세표준 15%구간의 과세표준을 4,600만원 -> 5,000만원으로 조정하였습니다. 

 

그럼 개인종합소득세율과 함께 법인세율로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개인종합소득세율

 

종합소득 과세표준 기본세율 일반계산 누진계산
1,400만원 이하 6% 과세표준 x 6% 과세표준 x 6%
1,400만원 ~ 5,000만원 이하 15% 84만원 + (1,400만원 초과금액 x 15%) (과세표준 x 15%) - 126만원
5,000만원 ~ 8,800만원 이하 24% 624만원 + (5,000만원 초과금액 x 24%) (과세표준 x 24%) - 576만원
8,800만원 ~ 1.5억원 이하 35% 1,536만원 + (8,800만원 초과금액 x 35%) (과세표준 x 35%) - 1,544만원
1.5억원 ~ 3억원 이하 38% 3,706만원 + (1억5천만원 초과금액 x 38%) (과세표준 x 38%) - 1,994만원
3억원 ~ 5억원 이하 40% 9,406만원 + (3억원 초과금액 x 40%) (과세표준 x 40%) - 2,594만원
5억원 ~ 10억원 이하 42% 17,406만원 + (5억원 초과금액 x 42%) (과세표준 x 42%) - 3,594만원
10억원 초과 45% 38,406만원 + (10억원 초과금액 x 45%) (과세표준 x 45%) - 6,594만원

 

개인종합소득세율 과세표준 구간이 많아진 느낌이라 외우기도 힘드네요 ㅎㅎ

고소득자분들은 다르겠지만 보통 6%, 15%구간에서 연말정산을 하게 됩니다.

 

맞벌이 부부라면 과세표준과 세율 구간을 잘 확인하여 서로 공제받을 내역을 정하는게 유리합니다. 과세표준 구간에 따라 서로 낮은 세율을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겠죠! 

 

 

다음은 법인세율을 알아보겠습니다.

법인세율은 오랜동안 변화 없다 2022년 이후부터 1%씩 인하되었습니다.  

 

 

 

 

 

2. 법인세율

 

법인세 과세표준 기본세율 일반계산 누진계산
2억원 이하 9% 과세표준 x 9% 과세표준 x 9%
2억원 ~ 200억원 이하 19% 1,800만원 + (2억원 초과금액 x 19%) (과세표준 x 19%) - 2,000만원
200억원 ~ 3,000억원 이하 21% 37.8억원 + (200억원 초과금액 x 21%) (과세표준 x 21%) - 4.2억원
3,000억원 초과 24% 625.8억원 + (3,000억원 초과금액 x 24%) (과세표준 x 35%) - 94.2억원

 

영리법인과 비영리법인 모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개인종합소득세율 보다는 좀 더 단순합니다. 

 

 

 

 

 

개인종합소득세와 법인세를 계산하기 쉽도록 '일반계산방법'과 '누진공제율을 이용한 방법' 모두 첨부하였습니다. 

 

우리가 세금계산을 하는데 있어서 굳이 빠르게 여러개 계산을 하지 않으니 두가지 방법 모두 계산하여 나온 금액이 맞는지 확인해보시는것도 좋을 것 같네요. 

 

요즘 ERP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그래도 최종적으로 나오는 세금인 만큼 검증 작업은 꼭 필요합니다~! 일년에 한 번정도 보는걸 외우기는 힘드니 필요할 때 찾아서 계산해보세요!

 

이상 개인종합소득세율과 법인세율 및 과세표준 구간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