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글을 작성할 때 '어떻게 설정할까?' 하며 고민을 하게 됩니다.
잘 아시는 분이 아니라면 그냥 기본값을 사용하기도 하죠!
하지만 조금만 신경쓴다면 블로그 방문객 유입을 늘릴수도 있습니다.
그럼 글쓰기 공개정책 어떤 의미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포스팅은 기초사용자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
먼저 제가 설정하고 있는 공개정책이 아래와 같습니다.
1. RSS 설정
RSS란 내블로그를 다른 포털의 검색로봇이 수집해 갈 수 있도록 OPEN 해놓는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다음블로그나 티스토리가 아니라면 다음검색에서는 블로그가 검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 다음검색의 RSS를 등록하면 검색이 됩니다.
참고로 다음검색에서는 다음블로그와 티스토리는 자동등록입니다.
물론, 네이버에서는 네이버블로그가 자동등록되겠죠!
(1) 공개글과 발행글
공개글과 발행글의 차이는 이전 포스트에서 설명드렸죠!
다른 포털의 검색로봇이 바로 RSS에 등록된 글만 검색해가는 것입니다.
- 공개글: 기본설정이 공개글만 RSS에 등록됩니다.
- 발행글: 기본설정이 발행글만 RSS에 등록됩니다.
(2) 부분공개와 전체공개
RSS에 등록된 글을 전체로 표시할지 일부만 잘라서 표시할지를 결정합니다.
- 부분공개: 일부만 표시합니다.
다른 사람이 구독시 전체를 보려면 내블로그를 방문해야만 합니다.
방문객 유입의 장점이 있겠죠!
- 전체공개: RSS에서 전체 포스트를 보여줍니다.
즉, 내블로그 방문을 하지 않더라도 전체 포스트 내역을 볼 수 있습니다.
내블로그를 구독하는 분들께 편리함을 제공하겠죠!
- 30개로 갱신: RSS 한 페이지에 담을 포스트 수입니다.
많으면 한 번에 여러개를 볼 수 있겠죠! ^^ 그래서 최대인 30개로 했습니다.
(3) 방명록 권한
방명록 권한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아시겠죠?
- 모든 사용자: 누구나 내블로그에 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장점: 가입을 꺼려하는 분들께는 희소식일 것입니다.
단점: 광고성 글이 도배될 수도 있겠죠!
- 로그인 사용자: 티스토리 가입자만 방명록을 남길 수 있습니다.
실명제와 비슷한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로그인 사용자라 할지라도 광고성 글이 등록될 수 있습니다. ㅋ
(4) 댓글 권한
방명록 권한과 비슷하게 보시면 됩니다. 포스트 댓글의 권한이죠!
'관리자 승인은 후 출력'에 체크하시면 댓글 등록시 블로그 주인에게 요청이 되며,
승인을 해주어야만 댓글등록이 가능합니다.
초보자에 맞춰 쉽게 설명하려 했는데 이해가 되시나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남겨주세요~ ^^
'T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블로그 RSS등록_NAVER검색 등록하기 (0) | 2013.05.28 |
---|---|
[티스토리] 내링크(my link) 설정방법 (0) | 2013.05.26 |
[Daum] 다음검색에 대한 생각_2013년 05월 19일(일) (0) | 2013.05.19 |
[티스토리] 글쓰기 설정과 불펌 및 복사방지 (1) | 2013.05.03 |
[티스토리] 회원가입. 초대장받기 (3) | 2013.05.02 |